일본어 동사활용표
우선은 일본어 동사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
◈ か행변격, さ행변격 : 2개밖에 없으니 그냥 외우시면 됩니다.
어미 변화의 모음은 똑같으니 동사에 맞춰서 자음만 바꿔주면 됩니다.
※주의사항! 5단동사의 미연형에서 う로 끝나는 동사들은 あ가 아닌 わ로 바뀝니다.
[표 이미지]
[표 이미지]
[표 이미지]
▶일본어 동사 종류
일본어 동사는 3가지로 분류됩니다.◈ か행변격, さ행변격 : 2개밖에 없으니 그냥 외우시면 됩니다.
- 来る、する
- 書く、死ぬ、終わる
- あいうえお 순서에서 う를 기준으로 앞, 뒤로 해서 상1단동사, 하1단동사로 분류합니다.
- 상1단동사 : 見(み)る、起(お)きる
- 하1단동사 : 食(た)べる、寝(ね)る
- 1단동사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5단동사로 취급하는 예외적인 동사가 존재합니다. → 帰(かえ)る、入(はい)る 등
▶5단동사 활용법
동사활용 | 어간변화X | 어미변화O | 어간변화X | 어미변화O | ||
5단동사 | 書(か) | く | 会(あ) | う | ||
미연형 | 書(か) | か | ない れる せる | 会(あ) | わ | ない れる せる |
연용형 | 書(か) | き | ます | 会(あ) | い | ます |
종지형 | 書(か) | く | 会(あ) | う | ||
연체형 | 書(か) | く | 명사 | 会(あ) | う | 명사 |
가정형 | 書(か) | け | ば | 会(あ) | え | ば |
명령형 | 書(か) | け | 会(あ) | え | ||
의지,청유 | 書(か) | こ | う | 会(あ) | お | う |
- 미연형 : 5단동사의 끝부분인 어미를 あ단(자음 + a)로 바꾸고 ない/れる/せる를 붙입니다.
- 연용형 : 5단동사의 끝부분인 어미를 い단(자음 + i)로 바꾸고 ます를 붙입니다.
- 가정형 : 5단동사의 끝부분인 어미를 え단(자음 + e)로 바꾸고 ば를 붙입니다.
- 명령형 : 5단동사의 끝부분인 어미를 え단(자음 + e)로 바꿉니다.
- 의지, 청유 : 5단동사의 끝부분인 어미를 お단(자음 + o)로 바꾸고 う를 붙입니다.
※주의사항! 5단동사의 미연형에서 う로 끝나는 동사들은 あ가 아닌 わ로 바뀝니다.
- 미연형에서 ない형(부정형), ~れる(수동태), ~せる(사역형) 입니다.
- 연용형에서 ます는 "~입니다." 라는 정중한 표현이지만 "~하겠습니다." 라는 뉘앙스의 의지도 가지고 있습니다.
- 연체형은 동사 뒤에 체언(명사)을 연결한다고 해서 연체형이라고 합니다. 명사를 수식합니다.
- 종지형은 문장에 끝에 쓰이는 형태고, 가정형은 상황을 가정합니다. 명령형은 명령하는 걸 의미합니다.
- 기본형 : 書く → 쓰다
- 부정 : 書かない → 쓰지 않는다
- 수동 : 書かれる → 써지다
- 사역 : 書かせる → 쓰게 하다
- 정중한 표현 : 書きます → 씁니다
- 명사 수식 : 書くとき → 쓸 때
- 가정 : 書けば → (만약에) 쓴다면
- 명령 : 書け → 써라
- 의지, 청유 : 書こう → 써야지 or (같이) 쓰자

▶상1단동사, 하1단동사 활용법
동사활용 | 어간변화X | 동사활용 | 어간변화X | ||
상1단동사 | 見(み) | る | 하1단동사 | 寝(ね) | る |
미연형 | 見(み) | ない られる させる | 미연형 | 寝(ね) | ない られる させる |
연용형 | 見(み) | ます | 연용형 | 寝(ね) | ます |
종지형 | 見(み) | る | 종지형 | 寝(ね) | る |
연체형 | 見(み) | る 명사 | 연체형 | 寝(ね) | る 명사 |
가정형 | 見(み) | れば | 가정형 | 寝(ね) | れば |
명령형 | 見(み) | ろ | 명령형 | 寝(ね) | ろ |
의지,청유 | 見(み) | よう | 의지,청유 | 寝(ね) | よう |
1단동사는 る를 제거하고 ない/られる/させる/ます 등을 붙입니다.
- 미연형에서 ない형(부정형), ~られる(수동태, 가능형), ~させる(사역형) 입니다.
- 연용형에서 ます는 "~입니다." 라는 정중한 표현이지만 "~하겠습니다." 라는 뉘앙스의 의지도 가지고 있습니다.
- 연체형은 동사 뒤에 체언(명사)을 연결한다고 해서 연체형이라고 합니다. 명사를 수식합니다.
- 종지형은 문장에 끝에 쓰이는 형태고, 가정형은 상황을 가정합니다. 명령형은 명령하는 걸 의미합니다.
- 기본형 : 見る → 보다
- 부정 : 見ない → 보지 않는다
- 수동, 가능 : 見られる → (수동이므로 다른 대상이 주어를 보는 것을 의미) or 볼 수 있다
- 사역 : 見させる → 보게 하다
- 정중한 표현 : 見ます → 봅니다
- 명사 수식 : 見るとき → 볼 때
- 가정 : 見れば → (만약에) 본다면
- 명령 : 見ろ → 봐라
- 의지, 청유 : 見よう → 봐야지 or (같이) 보자

▶か행변격, さ행변격 활용법
동사활용 | 어간변화O | 동사활용 | 어간변화O | ||
さ변격 | す | る | か변격 | 来(く) | る |
미연형 | し さ さ | ない れる せる | 미연형 | こ | ない られる させる |
연용형 | し | ます | 연용형 | き | ます |
종지형 | す | る | 종지형 | く | る |
연체형 | す | る 명사 | 연체형 | く | る 명사 |
가정형 | す | れば | 가정형 | く | れば |
명령형 | し (せ | ろ よ) | 명령형 | こ | い |
의지,청유 | し | よう | 의지,청유 | こ | よう |
- 이건 전부 외우셔야 합니다.
- 미연형에서 ない형(부정형), ~(ら)れる(수동태, 가능형), ~(さ)せる(사역형) 입니다.
- 연용형에서 ます는 "~입니다." 라는 정중한 표현이지만 "~하겠습니다." 라는 뉘앙스의 의지도 가지고 있습니다.
- 연체형은 동사 뒤에 체언(명사)을 연결한다고 해서 연체형이라고 합니다. 명사를 수식합니다.
- 종지형은 문장에 끝에 쓰이는 형태고, 가정형은 상황을 가정합니다. 명령형은 명령하는 걸 의미합니다. 'せよ'는 옛말이라 경찰이나 군대 외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 기본형 : する → 하다
- 부정 : しない → 하지 않는다
- 수동 : される → 되다, 당하다
- 가능 : できる → 할 수 있다
- 사역 : させる → 하게 하다
- 정중한 표현 : します → 합니다
- 명사 수식 : するとき → 할 때
- 가정 : すれば → (만약에) 한다면
- 명령 : しろ → 해라
- 의지, 청유 : しよう → 해야지 or (같이) 하자
- 기본형 : くる → 오다
- 부정 : こない → 오지 않는다
- 수동, 가능 : こられる → (수동이므로 주어가 아닌 대상이 오는 것) or 올 수 있다
- 사역 : こさせる → 오게 하다
- 정중한 표현 : きます → 옵니다
- 명사 수식 : くるとき → 올 때
- 가정 : くれば → (만약에) 온다면
- 명령 : こい → 와라
- 의지, 청유 : こよう → 와야지 or (같이) 오자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