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띄어쓰기 정리
참고 : 국립국어원, 네이버 국어사전 보조 용언은 본용언과 띄어 적는 것이 원칙이지만, ‘-아/-어/-여’ 뒤에 연결되는 보조 용언은 붙여 적는 것이 허용된다. -아/-어’ 뒤에 연결되는 보조 용언, 의존 명사에 ‘-하다’나 ‘-싶다’가 붙어서 된 보조 용언은 붙여쓰기가 허용된다. 한글맞춤법 제3절 제47항의 규정에 따르면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ㄱ] 그러고 나서(O), 그리고 나서(X) 걸('것을'의 준말로 띄어서 씀 / 예시: 미리 할 걸 그랬나봐) [ㄴ] 남아 있다(원칙), 남아있다(허용) [ㄷ] 들어 있다(원칙), 들어있다(허용) 다음 날(=내일) vs 다음날(정하여지지 아니한 미래의 어떤 날) [ㅁ] 먹고 나서(-고 나다) 먹어 보다(-어 보다) 먹어 버리다(원칙, -어/아 버리다), 먹어버리다('-어/아/여'버리다 허용) [ㅅ] 살아 내다('내다' 띄어쓰기가 원칙), 살아내다(허용) 살아 있다(원칙), 살아있다(허용) [ㅇ] 안 돼 : 동사 '되다'를 부정하는 경우로 여기서 '안'은 부사. 안돼 : 동사 '안되다'의 활용형. '일, 현상, 물건 따위가 좋게 이루어지지 않다.'의 뜻을 나타냄. 반대어는 '잘되다'. 않은걸(-ㄹ걸) 알아 가다('가다' 띄어쓰기가 원칙), 알아가다(허용) [ㅈ] 지켜 내다('내다' 띄어쓰기가 원칙), 지켜내다(허용) [ㅎ] 하는 듯하다 할 듯싶다(원칙), 할듯싶다(허용) 할 텐데(의존명사 '터'를 앞말과 띄어씀) 해 보다(원칙), 해보다(허용) 하고 싶다(-고 싶다) 해야겠다('하여야 하겠다'의 줄임말, '-겠'은 선어말 어미이므로 앞말에 항상 붙여 씀) 해야 하다(-어야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