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윈도우(windows)

VCRUNTIME140_1.dll 문제 해결 방법

Image
프로그램 하나를 지우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는지 삭제 중이라는 말만 뜬 상태로 계속 지속되길래, 무시하고 다른 것을 지우고 그것을 지웠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파이어폭스를 실행을 했더니 안 되네요. VCRUNTIME140_1.dll이(가) 없어 코드 실행을 진행할 수 없습니다.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하면 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파이어폭스 문제인 줄 알고 삭제하고 재설치를 했더니 안 되더군요. 해결 방법은 간단합니다. ' Microsoft Visaul C++ 2015 ' 이걸 설치하면 됩니다. 이미 존재한다면 재설치가 안 될 수도 있으니 [제어판]-[프로그램 및 기능]에 들어가서 삭제하고 설치 합니다. https://learn.microsoft.com/ko-KR/cpp/windows/latest-supported-vc-redist?view=msvc-170#visual-studio-2015-2017-2019-and-2022 위에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스크롤을 조금만 내리면 ' Visual Studio 2015, 2017, 2019 및 2022 '가 있습니다. 아키텍처 X64 링크를 클릭하여 파일을 내려받고, 설치하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만약 X64를 설치했음에도 안 된다면 X86 파일을 설치하면 됩니다.

윈도우 설치 후 - 윈도우 인증키 확인, 바탕 화면 아이콘 설정, 피플 끄기, 그래픽 사운드 드라이버 설치, 하드 디스크 절전 끄는 법

Image
컴퓨터가 자주 버벅거리고, 응답 없음 문구를 보는 횟수도 늘어나서 바이러스의 영향일까 싶어서 백신으로 검사를 해봐도 아무것도 안 나오더라고요. 그래서 하드 디스크를 포맷하고 윈도우를 다시 설치했습니다. 윈도우를 설치하고 나서 해야 하는 작업(필수, 선택) 일부를 적어보겠습니다. 1. 윈도우 설치 전 사용 중인 윈도우 인증키 확인하는 방법 윈도우 인증키를 따로 적어 두었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 윈도우 인증키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실행하는 방법은 간단하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윈도우 키를 누르고 시작 메뉴에서 ' 레지스트리 편집기 '라고 입력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합니다. 키보드에서 [ 윈도우 키+ R ]을 눌려서 실행 창이 뜨면 regedit 을 입력하고 확인을 눌립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실행되면 위에 있는 이미지처럼 빨간색 줄로 표시한 게 경로 입니다. 아래의 박스에 있는 경로를 복사해서 레지스트리 편집기 경로에 붙여넣고 엔터 를 눌립니다. 컴퓨터\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SoftwareProtectionPlatform 그래서 BackupProductKeyDefault의 데이터를 확인하면 현재 사용 중인 윈도우 인증키 를 알 수 있습니다. 데이터 항목만 봐도 바로 찾을 수 있어요. 2. 바탕 화면 아이콘 설정, 피플 끄는 방법 바탕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려서 ' 개인 설정 '을 클릭합니다. 왼쪽 메뉴에서 테마 를 클릭하고,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관련 설정에 ' 바탕 화면 아이콘 설정 '이 있습니다. 클릭합니다. 바탕 화면에 추가할 아이콘을 선택하고 적용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피플 끄는 방법은 메뉴에서 작업 표시줄 을 클릭하고 나서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피플 항목 이 있습니다. 사용할 생각이 없다면 끄면 ...

작업 관리자 실행이 안 될 때 비활성화 해결 방법

Image
오늘은 어떤 프로그램으로 인해 작업 관리자가 실행이 되지 않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이런 경우는 처음이네요. 작업 표시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서 메뉴를 확인하면, 작업 관리자가 비활성화가 되어서 실행을 할 수가 없습니다. 작업 관리자 파일을 찾아서 실행시켜도 '관리자가 작업 관리자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습니다.'라는 창이 뜨면서 실행이 안 됩니다.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해결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죠. 키보드에서 ' 윈도우키(windows key) + R '를 눌립니다. 실행창이 뜨면 regedit 이라고 입력하고 엔터 또는 확인을 클릭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이 뜨면 위에 있는 이미지에 파란줄로 표시한 경로 부분이 있죠. 그곳에 아래 네모 박스 안에 있는 경로를 복사하여 붙여넣고, 엔터를 눌립니다. 컴퓨터\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System 그래서 위에 있는 이미지처럼 DisableTaskMgr 라는 이름의 데이터가 보인다면, 이걸 삭제하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DisableTaskMgr를 삭제하고 나면 작업 관리자가 활성화가 됩니다.

윈도우7 윈도우 10 바탕화면 아이콘 설정

Image
정말 오랜만에 윈도우XP를 설치하고 나서, 바탕화면 아이콘을 설정하는 방법이 기억이 안 나더라고요. '어떻게 하더라...???' 하면서 고개를 갸웃하고... 게다가 윈도우XP를 설치했는데, 이상하게도 화면을 보면 시작메뉴도 윈도우98 이미지였는데...??? (설치 과정에서 뭔가 문제가 발생했다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저도 처음으로 새로운 윈도우를 설치하면, 바탕화면 아이콘 설정하는 방법을 몰라서 바로 검색하니까요. 1. window 10 바탕화면 아이콘 설정하기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을 눌립니다. 메뉴에서 ' 개인 설정 '을 클릭합니다. 개인 설정 창이 뜨면, 왼쪽 메뉴에서 ' 테마 '를 클릭합니다. 테마 화면에서 오른쪽을 보면 관련 설정 글자 밑에 ' 바탕 화면 아이콘 설정 '을 클릭합니다. 바탕 화면 아이콘 설정 창이 뜨면, 필요한 바탕 화면 아이콘을 체크하고 나서 확인을 클릭하면 됩니다. 2. window 7 바탕화면 아이콘 설정하기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을 눌립니다. 메뉴에서 ' 개인 설정 '을 클릭합니다. 개인 설정 창이 뜨면, 왼쪽 메뉴 위에 있는 ' 바탕 화면 아이콘 변경 '을 클릭합니다. 바탕 화면 아이콘 설정 창이 뜨면, 필요한 바탕 화면 아이콘을 체크하고 나서 확인을 클릭하면 됩니다. 3. window XP 바탕화면 아이콘 설정하기 정말 오랜만에 보는 윈도우XP 언덕 화면이네요. 그립기도 하고, 그립지 않기도 합니다. 마우스 커서를 아래쪽 작업 표시줄인 파란색 바 에 두고 나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을 눌립니다. 메뉴에서 ' 속성 '을 클릭합니다.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속성 창이 뜨면, 상단에 있는 [ 시작 메뉴 ]탭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이전 시작 메뉴'를 선택 하고 나서 확인을 클릭하면 바탕화면에 아이...

윈도우10 파일 탐색기 설정 / 윈도우7 가젯 사용

Image
계속 윈도우7을 사용하다가 윈도우10으로 바꾸고 나서 며칠이 지났지만... 불편한 게 보일 때마다 검색해서 해결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1. window 10 파일 탐색기 열기 설정 폴더에서 상단 메뉴에 [파일]-[옵션]을 클릭합니다. [일반]탭에서 상단에 ' 파일 탐색기 열기 '에서 드롭박스를 보면 내 PC, 즐겨찾기 가 있습니다. 파일 탐색기(단축키 : 윈도우 키+ E)를 열었을 때 어느 창을 열지 정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에서 기본값은 즐겨찾기 로 되어 있습니다. 윈도우7은 기본값이 내 컴퓨터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내 PC가 익숙하고, 애초에 내 PC를 열기 위한 단축키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탭 아래에 개인 정보 보호 항목에 즐겨찾기는 기본적으로 둘 다 체크되어 있습니다. ' 즐겨찾기에서 최근에 사용된 파일 표시, 즐겨찾기에서 최근에 사용된 폴더 표시 '는 아래 이미지에서 폴더 왼쪽에 있는 탐색창에서 즐겨찾기를 말합니다. 이건 사용자에 따라서 유용할 수도 있고, 필요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저는 필요 없어서 둘 다 체크 해제했습니다. 접어둘 수도 있지만 보일 때마다 거슬리다 보니. 자주 사용하는 폴더라면 그냥 즐겨찾기에 따로 추가하는 걸 선호합니다. 2. window 10에서 window 7 가젯 사용하기 윈도우7에서 사용하던 가젯이 보안상의 이유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보니, 윈도우10에서는 가젯 프로그램을 따로 설치해야 합니다. 아래에 있는 링크로 접속해서 8gadgetpack 이라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해서 설치하면 됩니다. 이 프로그램이 가젯 종류가 많더라고요. https://8gadgetpack.net/ 설치하고 나서 바탕화면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리면 '가젯'이 생깁니다. 최신 버전인 33.0.0에 있는 가젯 종류는 이렇습니다. 가젯 중에서 피아노가 있을 줄은 몰랐습니다ㅋㅋㅋ 제가 사용하는 가젯은 CPU ...

윈도우10 폴더 세부 정보창 윈도우7 스타일 적용 OldNewExplorer

Image
윈도우7을 쓰다가 며칠 전에 윈도우10을 설치했는데, 적응이 안 되는 게 많습니다. 윈도우10을 처음 써보는 건 아니지만, 개인적으로 메인으로 사용하려고 하니까 불편함이 좀 느껴진다고 해야 할까요... 오늘은 폴더를 정리하면서 보다가 윈7에서는 폴더창 아래에 파일, 폴더 수정한 날짜가 적혀 있었는데, 윈10에서는 안 보이더라고요. 그냥 전체 항목 중에서 몇 개를 선택했는지만 나오더라고요. 제가 파일 보기를 목록(간단히)이 가장 깔끔해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파일 마지막 수정 날짜가 아래에 표시가 돼서 정말 편했거든요. 근데 그게 없으니 당연히 불편할 수 밖에... 아래에 이미지를 보면 위에는 윈도우7, 아래는 윈도우10입니다. 윈도우7은 아래에 폴더 수정한 날짜가 보입니다. 세부 정보창을 켜면 저렇게 표시 가 되더라고요. 그런데 윈도우10에서는 세부 정보 창이 꺼져 있어서, 켜면 오른쪽에 표시 가 뜨더라고요.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만큼 파일 종류에 따라 상세 정보가 많이 표시됩니다. 수정한 날짜, 용량, 이미지라면 사진 크기, 제목, 만든이, 생성한 날짜 등등... 근데 그 정도까지 필요가 없을 때는 쓸데없이 공간만 차지해서 불편하다고 느낍니다. 수정한 날짜와 같은 간략한 정보만 필요할 때는 윈도우7이 훨씬 좋죠. 이럴 바에야 '자세히'로 보는 게 낫지 않을까 싶은데, 파일이나 폴더 개수가 많을 때는 그게 또 불편해서 쓰지 않습니다. window 10 세부 정보 창을 켜는 방법은 [보기]-[세부 정보 창] 을 클릭하면 오른쪽에 정보창이 뜹니다. 검색을 해보니 세부정보창을 window7 스타일로 적용하는 프로그램이 있어서, 저도 설치해봤습니다. 내 컴퓨터, 내 PC를 보면 윈도우10에서는 그냥 다 모아서 보여주는데, 윈도우7에서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이동식 미디어 장치를 나눠서 보여줍니다. 저는 이게 보기가 훨씬 편해서 이것도 같이 적용시켰습니다. 세부정보창도 위에 올려보면 보이는 윈도우7과 ...

하드 디스크 알 수 없음 초기화 안 됨 할당되지 않음 해결 방법

Image
하드 디스크 4테라를 하나 사서 연결했는데, 인식이 안 돼서 처음에는 불량인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해결법을 찾으니 잘 되더라고요. 포맷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데이터 복구는 못 합니다. 컴퓨터 관리에 들어가야 하는데,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 방법 : ' 내 PC ' 또는 ' 내 컴퓨터 '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려서 ' 관리 '를 클릭합니다.  두 번째 방법 : ' 윈도우 키 + R '을 눌리면 실행 창이 켜집니다. compmgmt.msc 를 입력하고 엔터/확인을 눌립니다. 컴퓨터 관리 창이 실행되면 왼쪽 메뉴에 [저장소]-[디스크 관리]를 클릭합니다. 화면 아래쪽에 디스크 중에서 ' 알 수 없음 ', ' 초기화 안 됨 '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디스크1 알 수 없음' 칸에 커서를 두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려서  디스크 초기화 를 클릭합니다. 디스크 초기화 창이 뜨면, 선택한 디스크에 사용할 파티션 형식은 MBR(마스터 부트 레코드)로 선택 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디스크 1이 알 수 없음, 초기화 안 됨에서 기본, 온라인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용량과 '할당되지 않음'이라고 적힌 칸에 커서를 두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려서 ' 새 단순 볼륨 '을 클릭합니다. 단순 볼륨 만들기 마법사 시작 창이 뜨면 다음을 클릭합니다. 두 번째로는 파티션 크기를 지정할 수 있는데, 파티션을 나눌 생각이라면 값을 바꾸면 됩니다. 그렇지 않고 통째로 쓴다면 값을 변경하지 말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세 번째로는 드라이브 문자 또는 경로를 할당할 수 있는데, 드라이브 문자만 생각합니다. 원하는 문자로 변경할 수 있으니, 고르고 나서 다음을 클릭합니다. 해당 이미지에서는 만들어진다면 E 드라이브가 되겠죠. 볼륨을 포맷할 것인지 아니면...

USB 포맷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해결 방법

Image
1. USB 먹통 그저께 윈도우 10 설치한다고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만들다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도중에 취소를 했습니다. 근데 이것도 시간이 제법 걸려서 그냥 USB를 뺐더니 USB가 먹통이 되었습니다. 위에 있는 이미지처럼 이런 상태가 돼서는 읽지도 못해서 포맷을 하려고 하니까 ' USB 포맷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라고 뜨더라고요. 몇 번을 시도해봐도 안 되어서 해결법을 찾아서 인터넷에서 검색해보았습니다. 2. USB 포맷하기 (포맷하는 방법이니 데이터 복구는 불가능합니다.) 시작메뉴를 눌려서 cmd 라고 입력하고 cmd 창을 실행합니다. 윈도우키 + R을 눌리면 실행창이 뜨는데 cmd 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눌립니다. cmd 창이 뜨면 diskpart 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눌립니다. list disk 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눌리면 현재 연결된 디스크 목록이 나옵니다. 디스크 중에서 본인의 USB 용량보다 약간 작은 걸 찾습니다.   제가 현재 사용 중인 USB의 크기는 16GB 입니다. (용량의 크기가 다른 이유는 판매사는 USB 용량을 10진수로 사용하지만, 윈도우에서는 2진수로 표기하기 때문에 크기가 작게 표시됩니다.) select disk 디스크번호 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립니다. 제 경우에는 USB가 디스크 1이라서 select disk 1 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눌렸습니다. clean 이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눌립니다. create partition primary 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눌립니다. list partition 이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눌립니다. 따로 파티션을 나누지 않은 이상은 파티션 1만 존재할 테니 select partition 1 이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눌립니다. active 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눌립니다. format fs=ntfs quick 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눌려서 'Diskpart가 볼륨을 성공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