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Blogspot

구글 블로그스팟 페이지에 글 목록을 제목으로 출력

Image
블로거 테마에 따라서 라벨을 선택했을 때, 글 목록을 보여주는 방식이 다릅니다. 본문 전체를 보여주는 테마도 있고, '제목+섬네일+글 일부'로 해서 글 목록을 보여주는 테마도 있습니다.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글 제목만 볼 수 있게 HTML을 고치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테마별로 적용이 되는 것도 있고, 안 되는 것도 있더라고요. 제가 지금 사용 중인 comtempo 테마는 잘 찾으면 적용이 되는 것도 있겠지만, 안 되는 것들도 많이 보입니다. 저는 예전에 한참 방법을 찾아다니다가 그나마 되는 걸 찾아서 적용을 했더니 마음에 안 들어서 관뒀습니다. 저는 위에 있는 이미지처럼 글 목록을 보고 싶은데, 현재 테마를 이렇게 바꾸는 방법은 안 보이더라고요. 그래서 선택한 게 페이지에 글 목록을 출력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단점이 있는데, 그건 바로 출력이 되지 않고 로딩 시간이 조금 있습니다. https://blog.g1s.kr/2017/07/postlist.html 위에 있는 링크는 제작자님 블로그입니다. 글 목록 기능을 적용하는 방법은 링크를 통해 해당 블로그에서 확인하세요. 블로거 왼쪽 메뉴에서 페이지를 클릭하고, 왼쪽 상단에 '+ 새 페이지'를 클릭해서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본문에 글 목록 기능 코드를 붙여넣고 게시합니다. 그러면 글 목록이 이렇게 출력되고, 이건 모든 글을 다 출력합니다. 여기서 몇 가지 수정을 해 보자면... 상단에 전체 리스트 글자 변경 : 전체 리스트 라고 검색해서, 글자를 변경하고 싶으면 지우고 나서 원하는 걸 쓰고, 공백으로 하려면 글자만 지웁니다. 게시글 작성 시간 중에서 시분초 삭제 : yyyy-MM-dd HH:mm:ss 라고 검색하고, HH:mm:ss 를 지웁니다. 라벨 삭제 : <span class="g1sCategory"> 부터 [{{category.term}}]</a><span> 까지 3줄을 삭제합...

구글 블로그스팟 카테고리 만들기

Image
구글 블로그스팟을 만들고 나면 카테고리가 없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구글 블로그를 꾸미는 작업 중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작업이 카테고리를 만드는 일입니다. 위에 있는 이미지는 심플 테마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카테고리는 1~3번 가젯을 통해서 만들 수 있고, 4번 가젯은 날짜별로 글을 분류해 줍니다. 1. 카테고리를 만들기 위해 라벨(태그)을 설정해서 포스트를 분류하기 블로그스팟은 라벨(태그)을 통해서 글을 분류할 수 있습니다. 글을 라벨별로 분류할 수 있으니까, 라벨을 이용해서 카테고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면 라벨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잠깐 알아봅시다. 1개의 포스트에 라벨을 추가, 수정 : '글을 수정할 때' 또는 '위에 있는 이미지에서 초록색 동그라미 안에 있는 아이콘(라벨 지정)'을 클릭합니다. 여러 개의 포스트에 라벨을 추가, 수정 : 포스트 목록 위에 있는 '관리'를 클릭하고, 원하는 포스트를 체크한 후에 라벨 지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라벨 목록 창이 뜹니다. 체크를 해제하면 라벨이 제거되고, 체크를 하면 라벨이 설정됩니다 새로운 라벨을은 글을 입력하면 상단에 새로 만들기라고 뜨면서 만들어집니다. 다 하고 나면 적용을 클릭합니다. 2. 레이아웃 편집하기 블로거 왼쪽 메뉴에서 레이아웃을 클릭합니다. 그러고 나서 가젯 추가를 클릭합니다. 여기서 사용해 볼 가젯은 라벨, 페이지, HTML/자바스크립트, 블로그 보관함으로 총 4개입니다. 그리고 레아이웃 편집을 완료했다면 하단 오른쪽 끝에 있는 저장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1. 라벨/태그 가젯으로 카테고리 만들기 가젯 추가에서 라벨을 선택합니다. 제목 : 공백으로 비워도 됩니다. 라벨 정렬, 표시(목록, 클라우드) : 원하는 걸로 선택합니다. 라벨당 글 수 표시 : 해당 라벨로 설정된 글이 몇 개인지 표시해 줍니다. 글이 몇 개 있는지 표시하려면 라벨/태그 가젯을 사용하는...

구글 블로그스팟 관련 글 위젯 추가하기

Image
이번에 블로그에 관련 글 위젯을 추가했습니다. 관련 글은 본문이 끝, 댓글 위에 있습니다. 제가 사용 중인 관련 글 위젯을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서 적어볼까 합니다. 아래에 있는 건 위젯 제작자님 홈페이지 링크입니다. 클릭해서 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https://github.com/salmanarshad2000/blogger-related-posts-widget 그 다음에 메모장을 실행합니다. 아래에 있는 회색 박스의 내용을 복사해서 메모장에 붙여넣습니다. <script> </script> <style> </style> 링크를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했으면 스크롤을 아래로 쭉 내립니다. 그러면 CSS Styles 라는 항목 이 보입니다. 위에 있는 이미지처럼 빨간색 네모 안에 있는 내용을 복사 합니다. 메모장에서 <style> 과 </style> 사이에 복사한 내용을 붙여넣습니다. 즉, <style> 복사한 내용1 </style> 이렇게 되는 거죠. 그 다음에 홈페이지에서 스크롤을 맨위로 올립니다. 상단에 4번째 항목인 'related-posts.min.js'를 클릭 합니다. (중간에 설치라고 적혀 있고, 한 줄로 된 코드가 있는데 우리는 이것을 사용하지 않을 겁니다.) 그러면 위젯 코드가 보입니다. 코드를 직접적으로 복사해서 사용할 생각이므로 오른쪽에 있는 '사각형이 겹쳐 있는 아이콘'을 클릭 합니다. 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코드를 복사 합니다. 메모장에서 <script> 와 </script> 사이에 복사한 코드를 붙여넣습니다. 즉, <script> 복사한 내용2 </script> 이렇게 되는 거죠. 그 다음에 Ctrl + F를 눌려서 u.onclick=t; 을 찾아서 지웁니다. 이걸 안 지우면 링크 이동이 안 돼요. 그러고 나서 최종적으로 메모장의 ...

블로그에 스팸 댓글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Image
제 블로그는 댓글이 잘 달리지 않은 편인데요. 지난달인 8월부터 스팸 댓글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예전에 네이버 블로그를 할 때도 가끔 스팸 댓글을 보긴 했지만, 그때는 외국 스팸은 한 번도 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구글 블로그를 사용하니까 한국 스팸은 한 번도 본 적이 없고, 전부 해외 스팸이에요. 예전에 처음 받았던 스팸은 러시아어였던가? 그랬고, 카지노와 관련된 스팸도 있었는데 이건 일부 문장을 번역기를 사용해서 한국어로 적어놓았더라고요. 언어를 번역기를 사용해서 바꿔준 걸 보면 약간의 배려가 있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스팸 자체가 민폐라서 배려라고 느껴지지는 않지만요. 스팸 내용은 전부 크랙 링크를 걸어주면서 사용해 보라는 내용입니다. 지난달부터 발생해서 오늘까지 달린 스팸을 포함하면 6번째예요. 그것도 전부 영어로 적혀 있어서 해외 스팸이에요. 저 포스트는 2021년에 작성했고, 유입이 없습니다. 구글에 키워드로 검색해 봐도 제가 작성한 글이 어디에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한참 뒤에 있거든요.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스팸 댓글을 작성하겠지만 저는 왜 걸리는지 모르겠네요. 그래도 저걸 딱히 신경 안 써도 되는 게 구글 블로그는 댓글을 달면 댓글이 바로 안 달리고 프로그램이 검토하는 것 같더라고요.(시간은 1분 이내) 그래서 스팸이라고 판단되면 자동으로 스팸으로 분류해줘서 포스트에 댓글이 안 보입니다.(스팸을 해제하면 댓글이 보여요.) 댓글에 숫자 1만 적고 달아도 스팸으로 분류해 버려서 작성한 댓글이 안 보이거든요.

블로그 웹사이트에 구글 번역기 기능 추가

Image
웹사이트 번역기 Google 번역 에 들어가보면 신규 사용자에게는 해당 기능 더 이상 제공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번역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브라우저를 사용하라고 합니다. 구글 블로그스팟은 [블로그 메뉴]-[레이아웃]에서 가젯 추가를 클릭하면 구글 번역기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나머지는 HTML 편집을 클릭하고, 구글 번역기 소스 코드를 복사해서 붙여넣으세요. ■ 구글 번역 - 모든 언어, 세로 모드   복사하기(copy) <div id="google_translate_element"></div><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googleTranslateElementInit() { new google.translate.TranslateElement({ pageLanguage: 'ko',  autoDisplay:'true',  layout: google.translate.TranslateElement.InlineLayout. VERTICAL }, 'google_translate_element'); }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translate.google.com/translate_a/element.js?cb=googleTranslateElementInit"></script> ■ 구글 번역 - 모든 언어, 가로 모드   복사하기(copy) <div id="google_translate_element"></div><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googleTranslateElementInit() { new google.translate.T...

구글 블로그스팟 페이지에 라벨 목록 만들기 출력

Image
페이지에 라벨 전부를 목록으로 출력하겠다고 검색하고,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방법을 찾아서 적용을 시켰습니다. 포스트 숫자 출력하는 것까지는 못 찾아서 포기했습니다. ■ 소스 코드   복사하기(copy)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AllLabel(json) { var arr = [ ]; for (var i = 0; i < json.feed.category.length; i++) { arr[i] = "<li><a href=' https://블로그주소이름.blogspot.com /search/label/" + json.feed.category[i].term + "'>"+json.feed.category[i].term+"</a></li>"; } arr.sort(); var list = "<H2>라벨 목록</H2>"+arr.join(''); document.write(list); }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 https://블로그주소이름.blogspot.com /feeds/posts/default?alt=json-in-script&callback=AllLabel"> </script> <style> li {border-bottom: 1px dotted #ddd; margin: 5px 0; padding: 5px; width: 250px;} a { text-decoration:none } </style>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에 사용자의 구글 블로그스팟 주소를 넣으세요. ■ 결과물 이미지 참고 링크 : MBT Blogge...

2020년 구글 블로그스팟 라벨 설정하는 방법

Image
글 작성에서 라벨은 전과 별로 변함이 없기 때문에 넘어가고, 라벨로 필터링하는 방법과 여러 개의 글을 한꺼번에 라벨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1. 글을 라벨로 분류해서 보기 글 목록 중에서 오른쪽 상단을 보면 오각형 모양이 있는데 이게 라벨입니다. 설명글이 '라벨별로 필터링'라고 적혀 있습니다. 클릭합니다. 라벨 창이 뜨고 '쉼표로 라벨을 구분하세요.'라고 적힌 부분이 보이는데 여기에 마우스 커서를 갖다 대고 클릭합니다. 그러면 전체 라벨 목록이 나옵니다. 타이핑해서 라벨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원하는 라벨을 선택하고 나서 적용을 클릭하면 해당 라벨이 포함된 글들이 분류되어 출력됩니다. 2. 여러 개의 글에 라벨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방법 글을 하나씩 수정해서 라벨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수정하고자 하는 글을 여러 개인데 그걸 일일이 수정한다면 정말 번거로운 작업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다행히 여기서는 여러 개의 글을 선택해서 한꺼번에 라벨을 수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라벨을 수정하고자 하는 글이 있는 네모 박스의 왼쪽 상단에 마우스 커서를 갖다 대면 체크 모양이 뜨면서 선택할 수가 있습니다. 클릭해서 글을 선택하면 상단에 바가 하나 생깁니다. 여기서 왼쪽 첫 번째에 있는 게 라벨을 수정할 수 있는 아이콘입니다. 원하는 만큼 글을 선택하고 나서 '이 글에 라벨 지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라벨 추가'라고 적힌 부분에 추가하고 싶은 라벨 이름을 쓰면 제일 위에 라벨이 만들어집니다. 위에 있는 이미지에서는 '라벨추가입니다.'라고 작성하니 이름 그대로 라벨이 생성된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만들어진 새 라벨을 적용하려면 체크를 하고 나서 적용을 클릭하면 됩니다. 물론 만들어둔 라벨 중에서도 적용하려고 할 때도 해당 라벨을 체크하면 됩니다. 오른쪽 이미지에서 android라는 라벨을 적용하고자 한다면 체크하고 나서 ...

HTML 구글 드라이브로 웹페이지 블로그에 음악 넣는 방법 (audio 태그)

Image
이번에 포스트를 작성하면서 음악을 좀 넣으려고 할 때, 음악을 어디에 업로드할까 하다가 구글 드라이브를 선택했습니다. 그래서 링크를 그대로 사용했더니 음악이 실행이 안 되더군요. 그래도 방법을 찾아보니 있네요. 위에 있는 이미지처럼 audio 태그를 사용하여 위와 같은 형식으로 음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봅시다. 준비물로는 'audio 태그'와 '음악 파일 URL'이 필요합니다. 1. 구글 드라이브에 음악을 업로드한 후 링크 공유하기 먼저 구글 드라이브에 음악을 업로드 합니다. 그러고 나서 음악 파일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려서 '링크 생성'을 클릭합니다. '제한됨'을 클릭해서 '링크가 있는 모든 사용자에게 공개'를 선택합니다. 링크 복사를 클릭하고 나서 완료를 클릭합니다. 2. 복사한 공유 링크를 다이렉트 링크로 바꾸기 (음악 파일 URL 획득) 링크의 차이는 직접 해보면 알 수 있지만 구글 드라이브에서 복사한 공유 링크는 들어가보면 미리보기로 보여주는 형식입니다. 하지만 다이렉트 링크는 들어가는 순간 바로 다운로드가 되죠. 아래, 초록색 박스에 있는 링크는 구글 드라이브 파일을 다이렉트 링크로 바꿔주는 사이트입니다. Google Drive Direct Link Generator 사이트에 들어가서 'Enter your sharing URL'에 복사한 링크를 붙여넣고 'Create Direct Link'를 클릭합니다. 'Output link'가 다이렉트 링크입니다. 링크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복사가 됩니다. 이로써 '파일 음악 URL'을 획득했습니다. htt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 1sPfbPeXtHuAnoCZO5XW8czYSr1tkfjA- 위에 박스 안에 있는 건 다이렉트 링크입니다. 여기서 다이렉트 링크 는, 아래...

마우스 우클릭 드래그 방지

Image
1. 마우스 우클릭 방지 oncontextmenu="return false" 위에 있는 내용을 넣으면 마우스 우클릭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div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예시 <div style="width:300px; height:100px; border: solid 1px grey; background-color: #E9E9E9; text-align:center;" oncontextmenu="return false" > <p>이 공간에서는<br>마우스 우클릭이 안 됨.</p> </div > ■ 결과물 이 공간에서는 마우스 우클릭이 안 됨. 2. 마우스 드래그 방지 ondragstart="return false" 위에 있는 내용을 넣으면 이미지, 텍스트, 파일 같은 것을 옮길 때의 드래그가 금지됩니다. 드래그로 인한 영역 선택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div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이미지를 드래그해서 옆에 있는 사각형 박스로 옮겨보세요. 이 공간에서는 마우스 드래그 금지 로 이미지를 옮길 수 없음. 3. 영역 선택 방지 onselectstart="return false" 위에 있는 내용을 넣으면 마우스 드래그, 키보드로 이미지나 텍스트의 영역을 선택할 수 없습니다. div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예시 <div style="width:300px; height:100px; border: solid 1px grey; background-color: #E9E9E9; text-align:center;" onselectstart="return false" > <p>이 공간에서는<br>영역을 선택할 수...

블로그 글 수정 시 발생하는 최악의 경우

Image
예전에 블로그 운영할 때 포스트를 수정하면 저품질이 된다는 등 좋지 않다는 글을 봤었습니다. 이때만 해도 검색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면 뒤로 밀려난다는 정도로만 생각했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글 좀 수정했다고 해서 불이익을 받아야 하는 이유를 모르겠거든요. 내용을 전부 갈아엎지 않는 이상은 말이죠. 저는 글을 작성하고 나서 수정하는 경우가 제법 있습니다. 주로 나중에 발견하여 오타를 수정하는 경우가 가장 많고, 필요에 따라서 내용을 조금 수정하거나 추가합니다. 그리고 글을 수정하고 나서 구글 검색 결과에서 불이익을 받은 적은 없습니다. 여전히 글이 최상위나 상위를 유지하고 있더라고요. (네이버 검색 결과는 어떠할지 모르겠네요.) 만약 제가 작성한 글이 뒤로 밀려난다고 하면 그 포스터의 내용이 훨씬 더 좋고, 유입수가 늘어나니까 상위로 올라가는 거겠죠. 하지만 이번에 포스트를 수정했을 때 최악의 경우를 알게 되었습니다. 만약 블로그에 평가 점수라는 게 존재한다면 그 점수도 같이 깎이지 않을까 싶네요. (아래의 경우가 발생하는 이유로는 '글 수정' 이외에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관련성이 가장 높은 결과를 표시하기 위해 이미지 표시된 ○○개와 매우 유사한 일부 항목을 생략 했습니다. 원하시면 생략된 결과를 포함하여 다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다른 누군가가 자신의 글을 '복사+붙어넣기'로 작성한 글이 있다면, 글을 수정했을 때 최악의 경우로는 원본이 유사문서로 분류되어 검색 결과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위에 있는 이미지도 검색 결과를 줄인다고 본문 내용 3줄을 붙여넣어서 검색하니까 보이더라고요. 결과에 보이는 제목도 바뀌었고, 설마 원본이 유사문서로 처리되는 경우를 보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 제 글은 사라지고, 다른 사람이 복붙한 제 글이 상위에 있는 걸 보니 씁쓸합니다. 구글 의견보내기로 유사문서 풀어달라고 하긴 했는데 해결해줄지 모르겠네요. 이러한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니 글을 수정할 때 한 번쯤 생각해보는...

네이버웹마스터도구 검색 문서 감소

Image
네이버웹마스터도구에서 색인 현황은 정기적으로 확인해봐야 합니다. 현재 날짜에 표기된 숫자와 자신이 등록한 포스트 수와 비교했을 때 차이가 좀 난다면 다시 웹 페이지 수집을 요청해야 합니다. 봇이 수집한다고 하지만 지워진 건 수집하지는 않는지 그냥 내버려둬도 다시 늘어나지는 않더라고요. 장기간 블로그에 글을 안 써도 검색 노출 대상 문서 수가 대폭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지만, 10일인가? 포스트를 안 쓰고 방치해두어도 검색 노출 문서 수가 눈에 띨 만큼 줄어드는 걸 볼 수가 있습니다. 뒷 페이지로 밀려나는 것도 아니고 삭제가 되네요. 근데 삭제되는 문서의 기준은 램덤인지 검색 유입이 있던 것도 삭제가 되더라고요. 전혀 검색 유입이 없는 거라면 이해하겠는데 검색 유입이 있었던 것도 지워지더라고요. 그런 포스트들은 나중에 검색 유입이 아예 없어져 버리니... 지워질 때마다 웹 페이지 수집 요청을 하는 것도 상당히 귀찮은 일입니다. 포스트 수가 적을 때는 괜찮은데 많을 때는 삭제된 문서는 찾는 일도, 아니면 처음부터 모든 포스트를 일일이 요청하는 건 상당히 번거롭습니다.

[블로그 비교] 네이버 블로그/티스토리/구글블로그스팟/FC2블로그

Image
제가 사용해봤었던 블로그 4개(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구글블로그스팟, FC2 블로그)를 비교해볼까 합니다. 최소 1개월 이상 사용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1. 글쓰기 / 포스트 작성이 편리 에디터, 글 편집 화면을 보면 기능이 다양해서 그냥 사용하면 됩니다. (이미지에서 윗부분) 구버전은 그냥 빈 공간에 글을 작성하는 거라 줄간격은 사용자가 조절해야 합니다. 또한, 요약(글 접기) 기능은 구버전에만 있습니다. (이미지에서 아랫부분) 최신버전은 기능이 좀 더 늘어났습니다. 그 중에서 소스코드는 IT 포스트 작성할 때 코드를 쓸 때 유용하고, 글감은 출처가 적힌 이미지가 추가됩니다. 또한, 템플릿(양식)은 추천 템플릿을 불러올 수도 있고, 자신이 만든 템플릿을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글 제목에는 배경사진을 첨부할 수 있습니다. 본문은 왼쪽을 보면 + 기호가 있는데 이걸 눌리면 텍스트 공간을 만들어 줍니다. 이 공간은 소제목, 본문 또는 단락별로 사용하기 좋습니다. 이모티콘도 있지만 예쁜 스티커도 있습니다. 태그는 블로그 내에서 글을 분류, 필터링하는 기능을 하고, (모바일에서) 다른 블로그의 같은 태그가 검색되기도 합니다. 글 공개를 전체, 이웃공개, 서로이웃공개, 비공개 4가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블로그 블로그 메뉴·레이아웃·가젯 편집 등이 쉬운 편입니다. 3. 글 내용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만큼 다양한 글이 존재합니다. 주제에 따라서는 네이버 블로그보다는 다른 블로그의 글이 유용하고 질이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스티커를 많이 사용하는 글도 보입니다. 4. 이웃, 서로이웃 새 글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친목의 용도로 쓰입니다. 바이럴 마케팅으로 이웃, 서로이웃 신청을 해서 블로그를 판매하라는 글을 볼 수 있습니다. 5. 광고 수익 네이버 애드포스트만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가입하기 위해서는 만19세 이상이어야 합니다. 블로그는 운영 기간(90일), 포스트 개수(50개 이상? 30개...

구글블로그스팟 zum 사이트 등록하는 방법

Image
오늘은 구글블로그스팟을 zum 사이트에 등록하는 방법(검색결과에 나타남)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zum에 사이트를 등록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검색창에 'zum 검색등록'이라고 검색해서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됩니다. zum 검색등록    위에 있는 링크를 통해서 들어가셔도 됩니다. 들어가시면 zum 검색등록에 '신규등록' 버튼이 있는데 클릭해주세요. 신규등록 양식에 맞춰서 사이트 등록 안내를 받을 이메일 주소를 적습니다. 그 다음에 사이트 등록 정보로 사이트 주소, 사이트명, 사이트 소개, 등록 사유를 적습니다. 마지막으로 아래에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안내에 관해서 '줌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합니다.(필수)'를  체크하시고, 신청하기를 클릭하면 끝납니다. 신청등록 후 업무일 기준으로 5일 이내에 적었던 이메일 주소로 검토 결과를 보내주시더군요. 심사는 까다롭지는 않은지 무난하게 통과되었습니다. 하지만 제 블로그는 검색하면 검색결과가 나타나지만, 제가 작성했던 포스트는 검색해도 보이지가 않습니다. 이러면 등록한 의미가 없어보이네요. zum은 검색결과에 나타나도록 신청만 가능하고, 웹마스터도구는 따로 안 보이네요.

구글 애드센스 승인 후기와 팁

승인을 받았던 시기가 2017년이라 한참이나 늦은 후기가 되겠지만, 지금도 찾아봐도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조건들은 변함이 없는 것 같더군요. 그리고 다른 분들의 후기나 팁들을 많이 읽어보시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1. 구글 애드센스 시도 저는 총 두 번 해봤습니다. 2017년 3~4월에 티스토리로 구글 애드센스를 승인 받았었는데, 나중에 티스토리를 삭제하고 구글 애드센스도 같이 탈퇴했었습니다. 그리고 블로그스팟(구글 블로그)으로 2017년 9월말에 신청하고 최종 승인이 떨어진 게 10월 중순 ~12월초 사이인데(오래돼서 기억이 안 남), 10월 중순에 마지막으로 글을 쓰고 방치해놨는데 어느새인가 최종 승인이 떨어졌더군요. 블로그스팟은 글이 어느 정도 채워지면 수익 부분이 활성화가 됩니다. 그러면 광고 위젯을 설치하고 기다리면 되는데 여기는 딱히 답변을 주지는 않더군요. 티스토리로는 답변(제일 많이 볼 수 있는 '콘텐츠 불충분')을 주지만 블로그스팟으로 시도할 때는 답변도 없더군요. 흔히 말하는 무한 검토 상태였는데, 게시글이 늘어난 후에 승인이 떨어지는 걸 보면 양(총 문자수)이 부족했던 모양입니다. 2. 승인을 받기 위한 팁 1) 글 하나의 문자수  글 하나에 최소 몇 문자 이상은 작성 해야 합니다. 글 하나라도 문자수가 부족하면 '콘텐츠 불충분'이라는 답변을 받고 , 저는 정책 위반이라는 답변도 받아봤습니다. 티스토리로 시도했던 당시에 문자수가 부족했던 글을 2차 심사 때 비공개로 해서 통과하고, 그 후에 공개로 바꿔놨더니 정책 위반이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글을 작성할 때는 최소 문자수는 지키고 있습니다. 안정적으로 승인을 받기 위해서라도 기본적으로 글 하나에 문자수는 1000자 이상이 가장 좋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티스토리로 제가 승인을 받았던 당시에 작성했던 글의 문자수를 토대로 작성했기 때문에 주관적이며 정확하지 않습니다. 저는 이미지 개수 때문에 문자수를 늘려서 승인을 받...

구글 블로그스팟 태그/라벨 설정

Image
이번에는 블로그스팟에서 태그/라벨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블로그스팟에서는 태그를 라벨이라고 부릅니다. 1. 개별 포스트에서 태그/라벨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방법 포스트를 작성하거나 수정할 때 오른쪽을 보면 글 설정에 태그라는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태그를 클릭해서 빈칸에 라벨 이름을 적습니다. 라벨은 쉼표로 구분을 하며, 이미 존재하는 라벨은 아래에 적혀 있으니 마우스로 클릭하면 빈칸에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IT, Blogspot, label 이라는 라벨을 3개 만들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쉼표로 구분하여 입력합니다. IT, Blogspot, label 라벨을 다 입력했다면 완료를 클릭합니다. 2. 여러 글의 태그/라벨을 한꺼번에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방법 블로거 - 글 관리 페이지에서 라벨을 수정하거나 추가하려는 글들을 체크합니다. 그 다음에 라벨 아이콘을 클릭하여 라벨을 선택합니다. 라벨이 없어서 새로 추가할 경우에는 새 라벨을 클릭하여 생성합니다. 라벨을 추가할 때는 원하는 라벨을 클릭하면 됩니다. (GAME 라벨을 추가하고 싶다면 GAME을 클릭합니다.) 라벨을 제거할 때도 원하는 라벨을 클릭하면 됩니다. (Blogspot 라벨을 제거하고 싶다면 Blogspot을 클릭합니다.) 모든 글이 많을 때는 오른쪽 상단에 있는 '모든 라벨'을 클릭하여 글을 필터링해서 분류하면, 라벨을 편하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을 몰랐을 때는 여러 글들을 일일이 수정해서 라벨을 고쳤던 기억이 나네요. 일일이 수정하는 건 귀찮은 작업이라 저렇게 편하게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은 정말 좋습니다. (모 블로그에서 태그를 지우는데 글마다 한 개씩 제거했었던 기억도 나네요. 저기는 태그를 한꺼번에 고치는 게 덮어쓰기 기능이라서 사용할 수가 없었습니다.)

네이버웹마스터도구 - 갑자기 검색노출이 되지 않을 때

Image
이번에 방문자 수가 좀 줄었길래 트래픽 소스를 조회해봤더니 네이버에서 유입이 완전히 사라졌더군요. 네이버웹마스터도구에 들어가서 색인과 검색 노출 가능 여부를 확인해봤습니다. 갑자기 색인이 0, 검색 노출 가능 문서 수가 0으로 바뀌었습니다. 제가 블로그에서 테마를 변경하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처음에 드는 생각은 색인이나 검색 노출 로직을 변경했구나 싶었어요. 지난달에도 그랬지만 뭔가 할 때마다 타격을 받네요. 그렇지만 테스트용 블로그는 노출 가능 문서가 줄어들지 않고 그대로였는데 봇이 수집을 안 해서 그런가봅니다. 봇이 열심히 일을 할수록 노출 문서가 줄어들다니 씁쓸하네요. 일단 하루는 그냥 가만히 기다려봤는데 해결될 기미가 안 보여서 결국 문의를 했습니다. 네이버 고객센터 : 웹사이트 노출 방법 고객센터 링크로 들어가서 아래로 스크롤을 쭉 내리시면 위에 있는 이미지처럼 '3단계) 설정 변경 후에도 검색되지 않는 경우'라는 문구를 볼 수가 있습니다. '클릭'이라는 글자를 클릭해서 사이트 url과 요청 사유를 적어서 접수합니다. 저는 어제 접수를 해서 지금 확인을 했으니 하루 정도면 검색 노출 문제는 해결이 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문서가 다 노출되는 건 아니더군요. 저는 일부 포스트가 검색 노출이 안 되던데 좀 더 기다려야 하는 건지 아니면 중복 키워드, 유사 문서로 분류돼서 노출이 안 되는 건지 모르겠더군요. 이제 검색 문제는 해결이 됐지만 검색을 하면 제 포스트는 한참 뒤에, 어느 정도 뒤에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처음부터 다시 시작이라는 느낌이군요. 한 번씩 이럴 때마다 힘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