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IT

VCRUNTIME140_1.dll 문제 해결 방법

Image
프로그램 하나를 지우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는지 삭제 중이라는 말만 뜬 상태로 계속 지속되길래, 무시하고 다른 것을 지우고 그것을 지웠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파이어폭스를 실행을 했더니 안 되네요. VCRUNTIME140_1.dll이(가) 없어 코드 실행을 진행할 수 없습니다.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하면 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파이어폭스 문제인 줄 알고 삭제하고 재설치를 했더니 안 되더군요. 해결 방법은 간단합니다. ' Microsoft Visaul C++ 2015 ' 이걸 설치하면 됩니다. 이미 존재한다면 재설치가 안 될 수도 있으니 [제어판]-[프로그램 및 기능]에 들어가서 삭제하고 설치 합니다. https://learn.microsoft.com/ko-KR/cpp/windows/latest-supported-vc-redist?view=msvc-170#visual-studio-2015-2017-2019-and-2022 위에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스크롤을 조금만 내리면 ' Visual Studio 2015, 2017, 2019 및 2022 '가 있습니다. 아키텍처 X64 링크를 클릭하여 파일을 내려받고, 설치하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만약 X64를 설치했음에도 안 된다면 X86 파일을 설치하면 됩니다.

구글 블로그스팟 페이지에 글 목록을 제목으로 출력

Image
블로거 테마에 따라서 라벨을 선택했을 때, 글 목록을 보여주는 방식이 다릅니다. 본문 전체를 보여주는 테마도 있고, '제목+섬네일+글 일부'로 해서 글 목록을 보여주는 테마도 있습니다.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글 제목만 볼 수 있게 HTML을 고치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테마별로 적용이 되는 것도 있고, 안 되는 것도 있더라고요. 제가 지금 사용 중인 comtempo 테마는 잘 찾으면 적용이 되는 것도 있겠지만, 안 되는 것들도 많이 보입니다. 저는 예전에 한참 방법을 찾아다니다가 그나마 되는 걸 찾아서 적용을 했더니 마음에 안 들어서 관뒀습니다. 저는 위에 있는 이미지처럼 글 목록을 보고 싶은데, 현재 테마를 이렇게 바꾸는 방법은 안 보이더라고요. 그래서 선택한 게 페이지에 글 목록을 출력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단점이 있는데, 그건 바로 출력이 되지 않고 로딩 시간이 조금 있습니다. https://blog.g1s.kr/2017/07/postlist.html 위에 있는 링크는 제작자님 블로그입니다. 글 목록 기능을 적용하는 방법은 링크를 통해 해당 블로그에서 확인하세요. 블로거 왼쪽 메뉴에서 페이지를 클릭하고, 왼쪽 상단에 '+ 새 페이지'를 클릭해서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본문에 글 목록 기능 코드를 붙여넣고 게시합니다. 그러면 글 목록이 이렇게 출력되고, 이건 모든 글을 다 출력합니다. 여기서 몇 가지 수정을 해 보자면... 상단에 전체 리스트 글자 변경 : 전체 리스트 라고 검색해서, 글자를 변경하고 싶으면 지우고 나서 원하는 걸 쓰고, 공백으로 하려면 글자만 지웁니다. 게시글 작성 시간 중에서 시분초 삭제 : yyyy-MM-dd HH:mm:ss 라고 검색하고, HH:mm:ss 를 지웁니다. 라벨 삭제 : <span class="g1sCategory"> 부터 [{{category.term}}]</a><span> 까지 3줄을 삭제합...

구글 블로그스팟 카테고리 만들기

Image
구글 블로그스팟을 만들고 나면 카테고리가 없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구글 블로그를 꾸미는 작업 중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작업이 카테고리를 만드는 일입니다. 위에 있는 이미지는 심플 테마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카테고리는 1~3번 가젯을 통해서 만들 수 있고, 4번 가젯은 날짜별로 글을 분류해 줍니다. 1. 카테고리를 만들기 위해 라벨(태그)을 설정해서 포스트를 분류하기 블로그스팟은 라벨(태그)을 통해서 글을 분류할 수 있습니다. 글을 라벨별로 분류할 수 있으니까, 라벨을 이용해서 카테고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면 라벨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잠깐 알아봅시다. 1개의 포스트에 라벨을 추가, 수정 : '글을 수정할 때' 또는 '위에 있는 이미지에서 초록색 동그라미 안에 있는 아이콘(라벨 지정)'을 클릭합니다. 여러 개의 포스트에 라벨을 추가, 수정 : 포스트 목록 위에 있는 '관리'를 클릭하고, 원하는 포스트를 체크한 후에 라벨 지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라벨 목록 창이 뜹니다. 체크를 해제하면 라벨이 제거되고, 체크를 하면 라벨이 설정됩니다 새로운 라벨을은 글을 입력하면 상단에 새로 만들기라고 뜨면서 만들어집니다. 다 하고 나면 적용을 클릭합니다. 2. 레이아웃 편집하기 블로거 왼쪽 메뉴에서 레이아웃을 클릭합니다. 그러고 나서 가젯 추가를 클릭합니다. 여기서 사용해 볼 가젯은 라벨, 페이지, HTML/자바스크립트, 블로그 보관함으로 총 4개입니다. 그리고 레아이웃 편집을 완료했다면 하단 오른쪽 끝에 있는 저장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1. 라벨/태그 가젯으로 카테고리 만들기 가젯 추가에서 라벨을 선택합니다. 제목 : 공백으로 비워도 됩니다. 라벨 정렬, 표시(목록, 클라우드) : 원하는 걸로 선택합니다. 라벨당 글 수 표시 : 해당 라벨로 설정된 글이 몇 개인지 표시해 줍니다. 글이 몇 개 있는지 표시하려면 라벨/태그 가젯을 사용하는...

구글 블로그스팟 관련 글 위젯 추가하기

Image
이번에 블로그에 관련 글 위젯을 추가했습니다. 관련 글은 본문이 끝, 댓글 위에 있습니다. 제가 사용 중인 관련 글 위젯을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서 적어볼까 합니다. 아래에 있는 건 위젯 제작자님 홈페이지 링크입니다. 클릭해서 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https://github.com/salmanarshad2000/blogger-related-posts-widget 그 다음에 메모장을 실행합니다. 아래에 있는 회색 박스의 내용을 복사해서 메모장에 붙여넣습니다. <script> </script> <style> </style> 링크를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했으면 스크롤을 아래로 쭉 내립니다. 그러면 CSS Styles 라는 항목 이 보입니다. 위에 있는 이미지처럼 빨간색 네모 안에 있는 내용을 복사 합니다. 메모장에서 <style> 과 </style> 사이에 복사한 내용을 붙여넣습니다. 즉, <style> 복사한 내용1 </style> 이렇게 되는 거죠. 그 다음에 홈페이지에서 스크롤을 맨위로 올립니다. 상단에 4번째 항목인 'related-posts.min.js'를 클릭 합니다. (중간에 설치라고 적혀 있고, 한 줄로 된 코드가 있는데 우리는 이것을 사용하지 않을 겁니다.) 그러면 위젯 코드가 보입니다. 코드를 직접적으로 복사해서 사용할 생각이므로 오른쪽에 있는 '사각형이 겹쳐 있는 아이콘'을 클릭 합니다. 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코드를 복사 합니다. 메모장에서 <script> 와 </script> 사이에 복사한 코드를 붙여넣습니다. 즉, <script> 복사한 내용2 </script> 이렇게 되는 거죠. 그 다음에 Ctrl + F를 눌려서 u.onclick=t; 을 찾아서 지웁니다. 이걸 안 지우면 링크 이동이 안 돼요. 그러고 나서 최종적으로 메모장의 ...

윈도우 설치 후 - 윈도우 인증키 확인, 바탕 화면 아이콘 설정, 피플 끄기, 그래픽 사운드 드라이버 설치, 하드 디스크 절전 끄는 법

Image
컴퓨터가 자주 버벅거리고, 응답 없음 문구를 보는 횟수도 늘어나서 바이러스의 영향일까 싶어서 백신으로 검사를 해봐도 아무것도 안 나오더라고요. 그래서 하드 디스크를 포맷하고 윈도우를 다시 설치했습니다. 윈도우를 설치하고 나서 해야 하는 작업(필수, 선택) 일부를 적어보겠습니다. 1. 윈도우 설치 전 사용 중인 윈도우 인증키 확인하는 방법 윈도우 인증키를 따로 적어 두었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 윈도우 인증키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실행하는 방법은 간단하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윈도우 키를 누르고 시작 메뉴에서 ' 레지스트리 편집기 '라고 입력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합니다. 키보드에서 [ 윈도우 키+ R ]을 눌려서 실행 창이 뜨면 regedit 을 입력하고 확인을 눌립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실행되면 위에 있는 이미지처럼 빨간색 줄로 표시한 게 경로 입니다. 아래의 박스에 있는 경로를 복사해서 레지스트리 편집기 경로에 붙여넣고 엔터 를 눌립니다. 컴퓨터\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SoftwareProtectionPlatform 그래서 BackupProductKeyDefault의 데이터를 확인하면 현재 사용 중인 윈도우 인증키 를 알 수 있습니다. 데이터 항목만 봐도 바로 찾을 수 있어요. 2. 바탕 화면 아이콘 설정, 피플 끄는 방법 바탕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려서 ' 개인 설정 '을 클릭합니다. 왼쪽 메뉴에서 테마 를 클릭하고,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관련 설정에 ' 바탕 화면 아이콘 설정 '이 있습니다. 클릭합니다. 바탕 화면에 추가할 아이콘을 선택하고 적용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피플 끄는 방법은 메뉴에서 작업 표시줄 을 클릭하고 나서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피플 항목 이 있습니다. 사용할 생각이 없다면 끄면 ...

블로그에 스팸 댓글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Image
제 블로그는 댓글이 잘 달리지 않은 편인데요. 지난달인 8월부터 스팸 댓글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예전에 네이버 블로그를 할 때도 가끔 스팸 댓글을 보긴 했지만, 그때는 외국 스팸은 한 번도 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구글 블로그를 사용하니까 한국 스팸은 한 번도 본 적이 없고, 전부 해외 스팸이에요. 예전에 처음 받았던 스팸은 러시아어였던가? 그랬고, 카지노와 관련된 스팸도 있었는데 이건 일부 문장을 번역기를 사용해서 한국어로 적어놓았더라고요. 언어를 번역기를 사용해서 바꿔준 걸 보면 약간의 배려가 있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스팸 자체가 민폐라서 배려라고 느껴지지는 않지만요. 스팸 내용은 전부 크랙 링크를 걸어주면서 사용해 보라는 내용입니다. 지난달부터 발생해서 오늘까지 달린 스팸을 포함하면 6번째예요. 그것도 전부 영어로 적혀 있어서 해외 스팸이에요. 저 포스트는 2021년에 작성했고, 유입이 없습니다. 구글에 키워드로 검색해 봐도 제가 작성한 글이 어디에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한참 뒤에 있거든요.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스팸 댓글을 작성하겠지만 저는 왜 걸리는지 모르겠네요. 그래도 저걸 딱히 신경 안 써도 되는 게 구글 블로그는 댓글을 달면 댓글이 바로 안 달리고 프로그램이 검토하는 것 같더라고요.(시간은 1분 이내) 그래서 스팸이라고 판단되면 자동으로 스팸으로 분류해줘서 포스트에 댓글이 안 보입니다.(스팸을 해제하면 댓글이 보여요.) 댓글에 숫자 1만 적고 달아도 스팸으로 분류해 버려서 작성한 댓글이 안 보이거든요.

광고 차단 프로그램 애드가드 AdGuard 리뷰

Image
구글 크롬으로 웹서핑을 할 때마다 광고를 자주 봅니다. 가끔은 도움이 될 때도 있지만 대부분은 방해가 됩니다. 특히 광고가 새창으로 뜨는 경우는 매번 닫아야 해서 엄청 귀찮아요. 그 중에서는 일부는 백신을 일하게 만드는 수상한 광고창들도 있거든요. 그래서 참다 못한 저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에서 광고 차단 프로그램을 찾아서 설치했습니다. 애드가드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광고 차단 프로그램을 쓰니까 아주 좋고 편합니다. 광고가 안 보여서 방해도 안 되고, 수상한 광고창도 안 뜨니까 백신이 일하는 일도 없어요. 진작에 쓸 것 그랬나 봅니다. 위에 있는 이미지는 인터넷 뉴스 중에서 한 곳에 들어가 보았습니다. 인터넷 뉴스도 광고가 아주 많아서 글을 읽을 때 엄청 방해가 되죠. 차단된 광고를 보니 111개네요. 한 페이지에 광고를 100개 넘게 만들어 놓다니 어느 의미에서는 대단합니다. 아무튼 광고 차단 프로그램을 쓰니 웹페이지가 아주 깔끔해져서 글 읽기가 아주 편해졌습니다. adguard 공식 사이트 구글 크롬 웹 스토어 : AdGuard 설치 링크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하니 윈도우, 맥, 안드로이드 전용은 무료 체험이 적혀 있는 걸 보니 유료인 모양이군요. 하지만 확장 프로그램은 무료 체험이라는 문구가 없으니 무료네요. 확장 프로그램으로도 광고 차단을 잘해줘서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으로도 충분한 것 같습니다. 애드가드 프로그램 옵션은 [확장 프로그램]-[점 3개]-[옵션]으로 들어갑니다. 확장 프로그램 관리에서는 프로그램 사용 조건(모든 사이트에서 사용하거나 특정 사이트에서만 사용)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옵션을 한번 훑어보면서 필요한 건 사용함으로 설정하면 되겠죠. 여기서 괜찮은 게 스텔스 모드입니다.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되니까요. 여기에 있는 모든 기능을 전부 사용해도 사이트 이용에 큰 지장을 주는 건 아닌데, 퍼스트 파티 쿠키 자동 파괴(권장X)와 WebRTC 비활성화 기능은 사이트 ...

삼성계정 탈퇴하는 방법

Image
이번에 삼성 앱 업데이트 때문에 삼성계정을 임시로 생성하고, 바로 탈퇴를 했습니다. 그래서 삼성계정을 탈퇴하는 방법에 대해서 적어볼까 합니다. 스마트폰 설정에서 보이는 계정 삭제는 해당 기기에서 계정을 삭제하는 것으로, 계정 탈퇴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먼저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 삼성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스마트폰 으로는 [ 설정 → 계정 및 백업 → 계정 관리 → 삼성 계정 선택 → 내 프로필 → 프로필 정보 → 오른쪽 상단에 점 3개 눌리기 → 계정 탈퇴 ]를 눌리면 삼성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https://account.samsung.com/membership/intro 갤럭시 기기로 로그인이 되어 있다면 'Galaxy 기기로 로그인'을 선택하고, 아니면 계정 ID로 로그인을 선택합니다. ※삼성계정에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작업이 발생합니다. 탈퇴를 할 때 마지막에 비밀번호 확인을 하므로 비밀번호 설정을 반드시 하시길 바랍니다. 상단 메뉴에서 프로필을 눌립니다. 프로필에서 화면을 아래로 내리면 '삼성계정 관리' 버튼이 있습니다. 해당 버튼을 눌립니다. 삼성계정 설정에서 화면을 아래로 내리면 '계정 탈퇴' 항목이 있습니다. 눌립니다. 삼성계정을 탈퇴하겠냐고 묻습니다. 그러면 동의를 선택하고 나서 삭제를 눌립니다. 마지막으로 비밀번호를 확인합니다. 그래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나서 확인을 눌리면 계정 탈퇴가 완료됩니다. 계정 탈퇴가 완료되면 로그인이 되어 있는 기기의 삼성계정도 자동으로 삭제가 됩니다.

사진 이미지 메타데이터 GPS 개인 정보 삭제 편집 수정하는 방법

Image
1. 사진을 인터넷에 업로드 할 때 주의사항 사진을 보면 여러 가지 정보가 있습니다. 카메라 설정 옵션도 알 수 있고, 카메라, 휴대폰 모델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주의해야 할 건 GPS, 위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입니다. (꿀뷰 프로그램은 GPS 위치 정보를 다음 지도, 구글 지도로 바로 볼 수 있음) 위치 정보를 삭제하지 않고 사진을 인터넷에 업로드를 했을 경우, 구글 지도로 검색하면 업로더가 사진을 찍었던 장소, 위치 정보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개인 정보를 삭제하고 업로드 하는 게 좋습니다. 2. 스마트폰, 디카 등 카메라 설정에서 위치 정보를 해제하기 위치 정보를 남기고 싶지 않다면 카메라 설정에 들어가서 위치 정보와 관련된 항목이 있는지 확인하여, 해제를 합니다. 3. 이미지 파일 정보 삭제하기 ① : 윈도우에서 파일 속성 제거 장점 : 윈도우 기능을 사용 하므로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음. 일부 정보는 편집이 가능하고, 개인 정보 제거 용도로 괜찮음. 단점 : 한꺼번에 여러 개의 파일에 적용할 수 없음. 이미지 파일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려서 [속성]을 클릭합니다. 파일 속성 창이 뜨면 위에 있는 탭 중에서 [자세히]를 클릭하고, 아래에 [속성 및 개인 정보 제거]를 클릭합니다. [파일에서 제거할 속성 선택]을 선택합니다. '제거할 항목을 개별로 선택'하거나 '모두 선택'을 합니다. 확인을 클릭합니다. 파일 속성 창도 확인을 클릭합니다. 4. 이미지 파일 정보 삭제하기 ② : Free EXIF Eraser 프로그램 기능 : 이미지 파일 EXIF/IPTC/XMP 정보를 삭제하는 프로그램. 장점 : 무설치 프로그램이고, 한꺼번에 여러 개의 파일을 변경할 수 있음. 아주 간편함. 단점 : JPG 파일만 가능한 듯? (PNG, GIF, BMP 파일은 적용 안 됨). 공식 웹사이트 : http://www.exiferaser.com/ 지원하...